![]() |
<사진-시흥군 관내도 「시흥군세일람(1936년)」.> |
옛 시흥군의 소래면, 군자면, 수암면이 합쳐져 1989년 1월 시로 승격할 당시 인구 9만3천여 명의 시흥시는 이후 급성장하며 2023년 1월 말 현재 인구 57만1천여 명에 이르렀다.
개발 과정에서 옛 자연마을의 상당수가 도시화로 사라졌고 정겨운 예전 마을지명도 점차 잊혀져 갔다.
이에 시흥신문은 시흥문화원이 발간한 「시흥시 지명유래」를 참고, 시흥지역의 옛마을이름을 소개한다. -편집자 주-
◇ 신현동(新峴洞)
신현동은 시흥시 중심부에서 서쪽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은행동과 매화동, 서쪽으로 인천광역시, 남쪽으로 연성동과 군자동, 북쪽으로 신천동과 경계를 이룬다.
1989년 시흥시 출범 당시 미산동‧방산동‧포동‧하중동을 관할하는 ‘신관동’으로 개청하였다. 1991년 1월 15일 ‘시흥시출장소설치조례’(시조례 제230호)에 따라 하중동이 연성출장소로 분소하였다. 1992년 1월 1일 ‘시흥시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에관한조례’(시조례 제282호)에 따라 신현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신현동은 본래 인천부 신현면에 속하던 지역이었다. 관할동인 포동의 중심이 되는 새우개 마을이 신현면의 순한글 표현이므로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지역의 전통을 계승하자는 의미에서 동명을 신현동으로 변경하였다.
= 솔경두고개
양우재와 은행동 찬우물 사이로 39번 국도에 있던 고개다. 이 고개마루에 큰 소나무가 있었는데 1950년대에 고사하였다고 한다. 1987년 길이 확장되면서 포장되었다.
= 솔모래이
구시미 앞의 산모퉁이로 큰 소나무가 많았던 곳이었으나 현재는 밭과 묘가 있다.
= 신성골
양우재에서 동북쪽으로 조선시대에 마을이 있었던 수풀 일대이다.물이 좋아 마을이 번성했을 것으로 보이나 도둑이 들끓어 폐동되었다고 한다. 현재도 깨진 기와장 등이 출토되고 있어 마을이 있었음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 쑥뒤
방골고개 중턱으로 절골에 속해 있는데 이곳에 야쑥이 많아 붙여진 이름이다.
= 우물배미
창동과 원촌 사이에 있던 논이다. 논 한가운데 우물이 있는데, 우물고사를 지낼 만큼 중시하던 대동우물이었나, 현재는 농업용수로 쓰고 있다.
= 웃우물
구시미 위쪽에 있는 대동우물이다. 물맛이 좋고 마르지 않아 가뭄이 들면 포동 걸뚝 등지에서도 이 물을 식수로 사용하였다. 바위에서 샘이 솟는 특징이 있다. <다음 호에 이어집니다.>
shnews j5900@cho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