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군 관내도 「시흥군세일람(1936년)」. |
옛 시흥군의 소래면, 군자면, 수암면이 합쳐져 1989년 1월 시로 승격할 당시 인구 9만3천여 명의 시흥시는 이후 급성장하며 2023년 1월 말 현재 인구 57만1천여 명에 이르렀다.
개발 과정에서 옛 자연마을의 상당수가 도시화로 사라졌고 정겨운 예전 마을지명도 점차 잊혀져 갔다.
이에 시흥신문은 시흥문화원이 발간한 「시흥시 지명유래」를 참고, 시흥지역의 옛마을이름을 소개한다. -편집자 주-
◇ 목감동(牧甘洞)
<물왕동‧산현동‧조남동‧논곡동‧목감동>
목감동은 시흥시 중심부에서 동쪽에 위치한다. 동북쪽으로 안양시, 남쪽으로 안산시, 서쪽으로 연성동, 북쪽으로 매화동과 경계를 이룬다. 조선시대 이 지역에 ‘목암사(木岩寺)’라는 절이 있었는데 경내의 단감나무가 유명하였다고 한다. 절 주변에 마을이 형성되자 목암사의 ‘목’자와 단감나무의 ‘감’자를 따서 ‘목감’이라 했다는 데서 동명이 유래하였다.
【4】 논곡동(論谷洞)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초산면 논곡리(논곡리)였다가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의해 1914년 3월 1일자로 안산군이 시흥군과 수원군으로 분리 통합될 때 시흥군에 속하게 되었으며, 같은 해 3월 13일 조선총독부 경기도령 제3호에 따라 옛 안산군의 군내면‧잉화면(인화면)‧초산면이 수암면으로 통합될 때 시흥군 수암면 논곡리로 편제되었다. 시흥시가 출범할 때 시흥시 논곡동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행정동은 목감동이다.
조선 정조 13년(1789)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호구총수(戶口總數)」에는 ‘논지곡리(論知谷里)’가 나오는데, 나중에 나오는 ‘논곡리’는 ‘논지곡리’를 줄여서 부른 이름으로 생각된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1년 경) 안산군 초산면에는 ‘논쥴’이라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다.
= 논줄
조선 중엽 연안 이씨의 어느 대신이 이 마을에 살았는데 때때로 서울의 중신들이 내려와 국사를 논의하려면 줄을 서서 기다려야 했다고 한다. 이후부터 국사를 논의하려는 중신들이 줄을 섰다고 하여 ‘논줄’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일설에는 이마을 뒤(서쪽)에 있는 산의 지세가 풍수로 보아 소가 누운 형국이라 하여 ‘논줄’이라 부르고 있다 한다.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지역에서 제일 가는 마을이라 하여 ‘논줄’이라 불렀다고 한다. 논줄은 마을의 큰우물을 중심으로 남쪽 지역을 ‘건너말’, 건너말 남쪽지역을 ‘새말’, 큰 우물 북동쪽 지역을 ‘웃말’이라 하고 마을 초입은 ‘모퉁이’, 모퉁이와 웃말 사이를 ‘아랫말’, 북쪽 지역을 ‘지암터’라 부르고 있다. 지암터에는 조선 초기 학자인 신숙주의 넷째 아들인 신정(1422~1482)의 묘가 있다. 마을에서는 해마다 음력 10월 1일에 건너말 뒤에 있는 당집에서 군웅제를 지내고, 이어 큰우물에서는 우물제를 지냈다고 한다.
shnews j5900@chol.com